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추석)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총정리- 전통시장·가맹점·온라인 사용 가능 매장

by 스칼500 2025. 9. 16.
반응형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을 살리기 위해 만들어진 지역경제 활성화 상품권입니다. 하지만 막상 선물로 받거나 구매했을 때, 어디서 사용 가능한지, 종이·모바일·카드형에 따라 결제 방법이 어떻게 다른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온누리상품권 사용처와 사용방법을 한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총정리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총정리

 

목차

  1.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2. 온누리상품권 사용방법
     2-1. 종이형 상품권 사용법
     2-2. 모바일 상품권 사용법
     2-3. 카드형 상품권 사용법
  3. 온누리상품권 사용 시 알아두면 좋은 꿀팁
  4. 마무리 정리

 

1.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온누리상품권은 대형마트, 백화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전통시장 및 제로페이 가맹 소상공인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 전통시장
    • 남대문시장, 동대문시장, 자갈치시장, 통인시장 등 전국 주요 전통시장
    • 의류, 식료품, 생필품, 음식점 등 대부분 점포
  • 제로페이 가맹 소상공인
    • 동네 슈퍼, 미용실, 음식점, 카페, 약국, 학원 등 생활 밀착형 매장
    • 온라인 전통시장몰(온누리전통시장몰) 일부 입점 업체

👉 매장 앞에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스티커가 붙어 있으면 사용 가능하며, 제로페이 앱에서 가맹점 조회도 할 수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총정리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총정리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총정리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총정리

 

2. 온누리상품권 사용방법

✅ 1) 종이형 상품권

  • 현금처럼 바로 사용 가능
  • 60% 이상 사용 시 잔액 현금 거스름 가능
    (예: 1만 원권으로 7천 원 결제 → 3천 원 거슬러 줌)
  • 사용 기한: 발행일로부터 5년

✅ 2) 모바일 상품권

  • 비플페이, 체크페이, 머니트리, 페이코 등 제로페이 앱 사용
  • 매장 QR코드 스캔 → 결제 금액 입력 → 결제 완료
  • 일부 온라인 전통시장몰에서도 결제 가능

✅ 3) 카드형 상품권

  • 농협, 대구은행 등에서 발급
  • 체크카드처럼 단말기에 긁어서 사용
  • 전통시장 및 제로페이 가맹 소상공인에서만 사용 가능

3. 온누리상품권 사용 시 알아두면 좋은 꿀팁

  • 사용 기한은 발행일로부터 5년
  • 사용 불가능: 대형마트, 편의점, 백화점, 온라인 대형몰
  • 일부 전통시장 주차장, 배송비 결제에도 사용 가능
  • 명절(설, 추석)에는 할인 판매 이벤트가 자주 열려 저렴하게 구매 가능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종이·모바일·카드형에 따라 결제 방식이 조금씩 다릅니다. 사용처는 매장 스티커 또는 제로페이 앱에서 확인할 수 있고, 잔액 거스름 규정까지 챙겨두면 훨씬 편리합니다.
특히 명절 시즌에 할인 이벤트가 많으니 미리 구매해 두면 알뜰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